top of page

Date: 1-31-18 군대 지휘관들과 더불어

  • 작성자 사진: 주인
    주인
  • 2018년 1월 31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18년 3월 24일

One Verse: 대상25:1절, "다윗과 군대 지도자들은, 아삽과 헤만과 여두둔의 자손들을 뽑아 세워, 수금과 거문고와 심벌즈로 신령한 노래를 부르는 직무를 맡겼다. 이 직무를 맡은 사람의 수는 다음과 같다."



다윗의 성전 건축 준비(대상21-27장) : 신령한 노래를 부르는 자 아삽, 헤만, 여두둔


성전 찬양대의 24반열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놀라운 사실은 <군대 지휘관들>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다.(1절) 당시의 군대란 국가의 전쟁을 대비해 무장하고 조직된 집단이다. 경찰과는 달리, 외적의 방위를 주요 임무로하는 조직기구였다. 고대 이스라엘에는 조직된 군대가 없었다. 족장시대에는 위기에 직면할 때마다 족장들이 씨족 중에서 남자들을 징집했다. 사사시대에는 방어 또는 필요에 따라 선제 공격을 하기 위해 지파 단위로 구성된 비정규 군대가 있었다. 군주정치 제도가 확립되자 상설 군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사울이 처음으로 조직된 군대를 만들었다(삼상 13:2).


이스라엘 군대는 다윗 이전까지는 보병만 있었는데, 칼쓰는 자, 창던지는 자, 물매하는 자, 활쏘는 자, 방패 잡은 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삿 20:2, 대하 26:14). 그들은 20세 이상의 남자들이었고(민 1:3),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장(삼상 8:12, 왕하 11:4)등의 조직을 갖고 있었다. 솔로몬 시대에 와서 기병, 전차부대가 생겨났다. 왕상 9:19, 대하 9:25). 각 부대는 대장 아래 있었고(민 31:14, 삿 20;10, 삼상 8:12, 왕하 1:9, 왕하 11:4, 대하 25:5), 지휘관, 대장이 모여 협의하여 행동을 결정했다(대상 13:1).

아삽과 헤만과 여두둔의 자손 중에서 12사람씩 24반차를 이루는데, 그 복무 순서는 나이나 지위에 따라 정하지 않고, <제비>를 뽑아 정하였다. 그런데 처음에도 언급 했듯이 성전 찬양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놀라운 사실은 <군대 지휘관들>이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사실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성전의 복무는 다윗 시대에 의무이자 명령에 따라 제도적으로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군대 지휘관들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곧 <왕의 명령과 지휘 아래>에 [성전 복무 제도]가 있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왕의 명령을 따라"(2절), "왕의 지휘 아래 있었으니"(6절) 그만큼 다윗이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던 통치 수단이 바로 <신정 정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적용: So What~! 하나님은 누구이신가?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내 삶의 영역에서 과연 어떤 것을 하나님께 구별하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시간, 물질, 봉사와 헌신, 섬김 등등 하나님을 위해 구별하고, 기꺼이 드릴 수 있는 믿음의 결단이 필요하다.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성전 예배를 국가의 제도로 만들기 위해 다윗은 그것을 왕의 명령과 지휘 아래 두었다. 그러자 그의 나라는 주변 국가들 가운데 가장 강성해졌고, 평화를 누리게 되었다.

영적인 원리는 하나님의 것을 바로 세울 때,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 생활의 모든 것들이 바르게 세워진다.

Comentarios


© 2018 by Sangin Han. " Freely you have received, freely give.​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라"(마10:8)

bottom of page